DEVLOG|개발 블로그

자바스크립트 디자인 패턴, 모듈 패턴과 옵저버 패턴 (js design patterns)

October 4, 2020 11:41 AM:javascript

디자인 패턴

흔히 알고있는 디자인 패턴이란 의류 모양의 패턴을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웹 개발에 있어서 디자인 패턴이란 개발 방법론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코드를 작성할 때, 몇 가지 규칙을 정해놓고 그 규칙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코드를 작성해가고 있다면 그것도 그것 나름대로 디자인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디자인 패턴으로는 싱글톤, 옵저버, 프록시 등이 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것 몇 가지만을 정리하고 알아본다.

모듈 디자인 패턴

객체 지향 언어에서는 모듈은 클래스와 똑같다. 클래스는 클래스를 캡슐화하기 좋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잘 설계하면)

IIFE

대개 모듈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려고 하면 클로져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모듈의 멤버 변수, 함수 등에 접근할 수 없게 한다. 아래는 즉시 실행 함수 IIFE (Immediately-Invoked-Function-Expressions)를 사용해서 모듈 디자인 패턴로 구현하는 간단한 예제다.

let ModuleDesign = (function () {
  let grade = 'A'
  let score = 96

  const getGrade = function () {
    return grade
  }
  const getScore = function () {
    return score
  }

  return {
    getMyGrade: getGrade,
    getMyScore: getScore
  }
})()

console.log(ModuleDesign.getMyScore())

// 96

이 모듈은 내부적으로 두 가지 변수를 가지고 있다. gradescore 변수는 외부에서 참조하지 못한다. getGradegetScore는 각각의 변수를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함수를 참조할 수 있는 객체를 반환했다. 반환한 객체를 이용해서 모듈 외부에서 모듈이 내보낸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설계할 경우 모듈을 외부로부터 보호된 환경에서 작성할 수 있어 좀 더 안전하게(외부와 결합도를 낮춘 상태에서) 모듈을 만들 수 있다. 클래스의 개념에서 이 모듈을 바라봤을 때, getGradegetScore는 외부로 내보낸 함수이기 때문에 public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외 내보내지 않은 변수는 private 멤버라고 볼 수 있다.

ES6 이후 디자인 패턴 구현 방법

ES6 이후에는 많은 문법이 추가되어 모듈 디자인 패턴을 구현하기 좋게 바뀌었다. export 키워드를 사용해 모듈을 간단하게 내보낼 수 있게 바뀌어 파일 단위로 모듈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많이 구현되었다.

const fetchUser = async id => {
  try {
    return await fetch(process.env.SERVER_URL, { id })
  } catch (error) {
    throw new Error(error)
  }
}

export default fetchUser

한 파일에서 이러한 모듈이 있다고 가정하면 export 키워드를 이용해 이 모듈을 외부로 내보낸다. export에 대해서는 MDN에 아주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import fetchUser './fetch'

const user = fetchUser(id)

export로 내보낸 모듈은 import 키워드로 모듈을 불러와서 모듈이 내보낸 객체, 함수, 변수 등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클래스

ES6 이후엔 클래스 문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정확히는 타 언어에서 사용하는 클래스처럼 만들 수 있는 설탕 문법) 클래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면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는 private 변수를 만들 수 있다.

class Student {
  #grade = 'A'
  #score = 96

  get grade() {
    return this.#grade
  }
  get score() {
    return this.#score
  }
}

const student = new Student()

student.grade // 'A'
student.score // 96
student.#grade // SyntaxError: Private field '#grade' must be declared in an enclosing class

클래스에서 변수 앞에 '#'을 붙여넣으면 해당 변수는 private한 변수로 지정된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이 변수에 접근할 수 없다. 대신 getter를 두어 외부에서 접근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전에 나왔던 export 키워드를 사용하여 클래스를 내보내면 ES6 이전에 모듈 디자인 패턴을 구현했던 것과는 달리 아주 깔끔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옵저버 디자인 패턴

Vue나 React, Angular에서는 상태 값이 변경될 때마다 컴포넌트를 재렌더링하거나 그 상태 값에 의존하는 모든 값들이 다시 재계산된다. 객체의 변경점을 관찰하고 특정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다. 내부 구현은 어떻게 되어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옵저버 디자인 패턴을 따라 구현하게 되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function Observer() {
  this.list = []
}

Observer.prototype.registerObserver = function (target) {
  this.list.push(target)
}

Observer.prototype.unregisterObserver = function (targetObserver) {
  this.list = this.list.filter(
    existObserver => existObserver !== targetObserver
  )
}

Observer.prototype.notifyObservers = function (content) {
  this.list.forEach(observer => observer.notify(content))
}

const observer = new Observer()

const target1 = { notify: content => console.log('target1 : ' + content) }
const target2 = { notify: content => console.log('target2 : ' + content) }
const target3 = { notify: content => console.log('target3 : ' + content) }

observer.registerObserver(target1)
observer.registerObserver(target2)
observer.registerObserver(target3)

observer.notifyObservers('hello Observers')
// target1 : hello Observers
// target2 : hello Observers
// target3 : hello Observers

observer.unregisterObserver(target2)

observer.notifyObservers('except target2 in Observers')
// target1 : except target2 in Observers
// target3 : except target2 in Observers

배열을 가지는 옵저버 한 개를 두고 이 옵저버가 감시할 대상을 registerObserver 메서드를 통해 추가한다. 반대로 감시 대상에서 제외시킬 경우 unregisterObserver를 이용해서 배열에서 제외시킨다. 그리고 옵저버에 감시당할 타겟 객체 3개를 만들고 notify 메소드를 구현한다. content를 인자로 받아 자신의 이름과 인자를 출력하는 간단한 메소드이다.

registerObserver로 타겟 객체 3개를 감시 대상에 추가하고, notifyObservers 메서드로 감시 대상들의 notify 메서드를 호출한다. 감시 대상들의 notify가 정상적으로 호출되고 한 개의 감시 대상을 제외시킨다. 그리고 다시 호출하면 제외된 감시 대상 외 모든 감시 대상의 notify 메서드가 호출되었다.

class Observer {
  constructor() {
    this.list = []
  }

  registerObserver(target) {
    this.list.push(target)
  }

  unregisterObserver(targetObserver) {
    this.list = this.list.filter(
      existObserver => existObserver !== targetObserver
    )
  }

  notifyObservers(content) {
    this.list.forEach(observer => observer.notify(content))
  }
}

const observer = new Observer()

const target1 = { notify: content => console.log('target1 : ' + content) }
const target2 = { notify: content => console.log('target2 : ' + content) }
const target3 = { notify: content => console.log('target3 : ' + content) }

observer.registerObserver(target1)
observer.registerObserver(target2)
observer.registerObserver(target3)

observer.notifyObservers('hello Observers')
// target1 : hello Observers
// target2 : hello Observers
// target3 : hello Observers

observer.unregisterObserver(target2)

observer.notifyObservers('except target2 in Observers')
// target1 : except target2 in Observers
// target3 : except target2 in Observers

클래스 문법을 사용하면 좀 더 깔끔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더 알아볼 패턴

  • 싱글톤 디자인 패턴
  • 팩토리 디자인 패턴
  • 프록시 디자인 패턴
  • Iterator 디자인 패턴
  • Mediator 디자인 패턴